광주의 아름다운 八景五味
* 무등산의 사계
무등산은 헤아릴수 없고 견줄만한 상대가 없어 등급을
매길래야 매길수 없는 광주. 전남의 명산으로 남도인의 정신이담긴 산이다
봄철이면 만개하는 연분홍 철쭉과 진달래, 가을철의 단풍과 억새꽃, 겨울철의 설화는 무등산의 운치를 더해준다
* 구 도청앞 광장 및 충장로 야경
5.18광장은 외세와 독재에 항거했던 민중항쟁지로써, 민주, 자유, 정의라는 광주 정신이 스며있는 역사의 현장이다. 광주의 심장부 충장로는 쇼핑과 패션의 중심지로 많은 시민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휘황찬란한 네온사인의불빛만큼이나 활기가 넘쳐 흐르는 곳이다
* 사직공원의 해돋이
광주에서 가장 먼저 만들어진 시민들의 휴식공간인 팔각정에오르면 광주시내가 한눈에 보이고 주변에는 광주향교등 오래된 가옥들을 보존하고있으며양림동과 연계돼어있어 기독교문화의 변천사도알수있다.
범이면 공원입구에 벚꽃이 만발하여 터널을 이루고 여름에는 아카시아 녹음, 가을의 단풍과 낙엽등이 한껏 어우러져보는이의 눈을 황홀하게 만든다.
사직공원에서 보는 아침 해 돋이는 특히 아름답다
*월드컵경기장의 달맞이
월드컵 4강신화의 현장으로서 전체적인 모습은 우리지역
전통 민석놀이인 고싸움의 "고" 를 형상화 했으며, 지붕 곡선은 무등산의 스카이라인을 그대로 옮겨놨다. 밤에 바라보는 달맞이는 현대인의 가슴에 새롭게 떠오르는 꿈을 향해다가가는 기대에 찬 모습을 보는듯 뿌듯함을 느끼게한다
*빙월당과 황룡강 물안개
빙월당은 고봉 기대승과 박상, 박순, 김장생, 김집 등 조선시대의 학자와 명신들을 배출한 월봉서원의 강당 이름이다.
황룡강은 영산강 본류인 극락강과 합류하며, 조류들의 서식에 좋은
조건을 갖추고있어 왜가리와 백로 등 보호조류가 군락을 이룬다. 특히 황룡강의 물안개는 신비스러운 분위기를 만들어준다
*포충사 .대촌들녁
포충사는 1952년 임진왜란 당시 호남지방에서 최초로 의병 7천 여명을 모집하여 금산전투에서 장렬히 순절한 고경명 삼부자 등 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사당이며 대촌들녁에는 이 지역 고유 문화를 엿볼수있는 고싸움테마파크 등 이 있다
*잣고개 야경
잣고개는 무등산 전망대, 무진고성지터가 자리잡고 있는 무등산의 길목이다. 특히 잣고개에서 광주시내의 아름다운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수있는 풍경이 좋은 자리이다
*중외공원 산책로
고속도로 서광주 나들목에 자리한 중외공원은 각종 놀이시설과
함께 수려한 자연속에서 휴식을 취할수있는 도시 근린공원이며
광주비엔날레와 김치축제의 장소로도 유명하다
또, 인근에는 시립민속박물관과 국립박물관, 문화예술회관이있어 예술과함께 산책을 할수있다
*광주 한정식
광주 한정식은 남도의 맛과멋, 인심을 집약해 놓은 상차림이며 산과 바다와 들과 육지에서 나는 모든 먹거리가 한테 모여있다
취나물, 고사리, 도라지, 더덕, 콩나물 등이 오르고 김치도
배추김치, 총각김치, 물김치, 고들빼기김치, 갓김치 등 다양하다.
그러나 뭐니 뭐니 해도 광주 한정식의 핵심은 10여가지가 넘는 젓갈이다
*무등산 보리밥
계절에 따라 바뀌는 채소 등의 신선한 나물에 얼큰한 고추장과 참기름을 떨어뜨려 싹싹 비벼먹는 무등산의 보리밥은 입맛을 돋을 뿐 아니라 소화도 잘 되어 누구나 좋아하는 음식이다. 특히 무등산 등정후 시원한 막걸리와 같이하는 보리밥은 그 무엇과도 비교할수가 없다
*광주김치
김치는 한국 고유의 전통 발효식품으로 성인병 예방 및 영양학적
으로도 매우 우수한 식품이며 장, 젓갈과 더불어 우리 민족의 싯탁을 이끌어온 3대 발효식품이면서 절임식품이다
광주 김치의 특징은 소금간을 넉넉히 하고 젓갈, 고추가루 등 각종 양념을 듬뿍 집어넣어 그 맛이 매콤라면서도 걸쭉하다
이를 기리기위해 광주 북구 삼각동에 음식 박물관을 개장하여
여러사람과함께 음식체험을 할수있는 공간을 마련했다
*광주 오리탕
광주 오리탕은 들깨가루와 말린 나물을 듬뿍 넣어 만들기 때문에 맛이 개운하고 담백한 것이 특징이며 집오리나 청둥오리에 밤, 대추 인삼, 녹각, 찹쌀등을 넣어 죽을 쑤어내 놓는다
*송정떡갈비
떡갈비는 서민들의 출출한 뱃속을 달래주는 술안주겸 별미음식으로 음식에 손맛을 담아내는 광주 지역 송정의 명물이다.
갈비에 여러부위의 고기살을 섞어 푸짐하게 다진 다음, 마늘, 생강, 참기름 등으로만든 갖은 양념을 발라 구워낸 떡갈비의 구수한 냄새는 지나가는 이의 발길을 멈추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