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

[스크랩] 틀리기 쉬운 한글 맞춤법 6가지

smile⌒∇⌒ 2010. 8. 4. 12:54

틀리기 쉬운 한글 맞춤법 6가지

인터넷을 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맞춤법을 바르게 사용하지 않는 것을  보게 됩니다.
아래에 틀리기 쉬운 우리말 맞춤법 6가지를 열거하였습니다
.
참조 바랍니다
.

1.
/

답장 주십시요.”, “수고하십시요이런 말들은
모두 마지막의 바꿔 써야 맞습니다
.
반면, “ 답장 주세요”, “수고 하세요에서는 맞는데
,
세상만사가 그렇듯이 원리를 따지면 복잡하니 간단히 암기합시다
.
말의 마지막에 “-시요 적을 일이 있을 때는 “-시오 바꿔 씁시다
.

2.
데로/대로

부탁하는 데로 주었다”, “시키는 데로 했을 틀린 말입니다.
데로대로 고쳐야 맞습니다
.
그러나 모든데로 틀리는 것은 아닙니다
.
조용한 데로 가서 얘기하자 경우는데로 맞습니다
.
둘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
장소를 나타내는, 으로 바꿔 말이 되는 곳은데로
”,
이외의 경우에는대로 씁니다
.

3.
/


언젠가부터 모든 “-읍니다 “-습니다 바뀌었습니다.
그러자 응용력이 뛰어난 많은 분들이 원리를 적용해

밥을 먹었음밥을 먹었슴으로 쓰기 시작하였습니다
.
실로 통탄할 일이 아닐 없습니다
.
사슴”, “가슴등의 명사 말고 끝이으로 끝나는 경우는 없으니
,
끝을으로 바꿔 말이 되면 무조건으로 적읍시다
.

4.
으로/므로

많이 틀리면서 외우기도 상당히 어려운 고난도 기술입니다.
어려움이 있더라도 연마해 두시기 바랍니다
.
일단 맞게 적은 예를 봅시다
.
부재중이므로 전화를 받을 없습니다.” 때문에 뜻일 때는므로

편지를 보냄으로 대신한다.” “- 것으로 뜻일 때는+으로


따라서바쁨으로 깜박 잊었다라든지, “혼잡함으로 후문을 이용해 주십시오

므로 바꿔써야 합니다
.
둘을 확실히 구별하는 방법은
,
때문에 바꾸어 말이 되는지 보는 것입니다
.
된다면 무조건므로 적어야 맞습니다.

·  추가
그러므로그렇기 때문에

그럼으로그러는 것으로

일을 하므로 보람을 느낀다일을 하기 때문에 보람을 느낀다

일을 함으로 보람을 느낀다일을 하는 것으로 보람을 느낀다


5.
되다/돼다


우리말에돼다 없습니다.
되어 줄인 말이므로
,
풀어보면되어다 되므로 말이 된다는 것을 쉽게 있습니다
.
반면, “됐다되었다이므로 맞는 말입니다
.
흔히 틀리는 경우가돼다”, “돼어등이 있는데
,
감별하는 방법은 일단라고 적으려 시도를 하면서
,
되어 바꾸어 보면 됩니다
.

됐습니다되었습니다

” - 되어

(
줄여놓는 말만 써서 이상해 보이지만 원형 대로 쓰면 이렇습니다
.)
ㄷ습니다되었습니다 말이 되므로 고쳐야 하는
.
돼어 갑니다 되어어 갑니다
” ×
돼어 되어므로


6.
/

 

부정을 나타낼 앞에 붙이는아니 줄임말입니다. 따라서 먹다”, “ 졸다 맞는 말입니다. 역시 부정을 나타내는아니하-” 줄임말입니다. 말은 앞말이무엇무엇하지 오고, 다음에 붙어서 부정을 나타냅니다. “ 보다아니 보다”“ 가다아니 가다”“보지 않다보지 아니하다”“가지 않다가지 아니하다” “ 보다아니하- 보다” ד 먹다아니하- 먹다” ד뛰지 안다뛰지 아니” ד먹지 안다먹지 아니” × 이것을 외우려면, 부정하고 싶은 앞에서는”, 뒤에서는으로 생각하면 좋습니다

 

·  추가

·  한국어 문법상 / 구분은 / 구분원리와 같습니다.
하지만 / 발음이 다르기 때문에 누구도 헷갈려하지 않지만

/ 발음이 똑같아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시는거죠
.
무슨 소리냐구요? 해보면 압니다
.

->

->
바꿔서 생각하면 되는겁니다.

예제를 풀어봅시다.

· 

안돼 / 안되 -----------------> 안해 / 안하 당연히 안해가 맞죠? 따라서 답은 안돼

안돼나요 / 안되나요 -------> 안해나요 / 안하나요 말할필요도 없죠? 따라서 답은 안되나요

수밖에 / 수밖에 -----> 수밖에 / 수밖에 수밖에가 맞죠? 답은 수밖에

�습니다 / 됐습니다 -------> �습니다 / 했습니다 했습니다가 맞죠? 역시 답은 됐습니다

 

어때요? 쉽죠?

궁금한 있으면 지금 당장 / 바꿔보세요.

출처 : 따스한 햇살이 머무는 뜨락
글쓴이 : 후사경 원글보기
메모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KBS 역사스페셜 100선  (0) 2013.08.07
차문화 예절  (0) 2010.08.02
스티로폼 은?  (0) 2010.08.02
좋은친구는 인생의 보배  (0) 2009.08.29
재물  (0) 2009.08.29